자바스크립트 화살표 함수 (람다식) 자바스크립트의 람다식? 람다식이라, 어디에서 들어봤는가? 아마 자바 공부를 하던 사람이라면 어쩌다 한번은 들어봤을 것이다. 자바에서의 람다식은 주로 쓰레드(한번에 여러 작업을 처리)작업을 할 때 필요한 Runnable 객체(실행코드, JS에서는 익명함수)를 편리하게 생성하기 위해 쓰인다. 그런데 이런 기능이 JS에도 있다는 것, 들어봤는가? 목적이 거의 비슷하고, 문법도 비슷하다. 하지만 자바스크립트에서의 이런 기능은 자바의 "람다식" 과는 명칭이 별개로 붙어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매일매일 function(){}을 적느라 고생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바로 '화살표 함수'다. 풀네임으로는 화살표 함수 표현, arrow function expression 정도 되겠다. 주로 쓰이는 방식은 위와 같다... 더보기 블로그를 망치는 블로그 강박 '블로그 강박'을 느껴본 적 있는가? 블로그 강박이란 무엇일까? 정확한 정의가 있지는 않지만, 블로그 라는 단어와 강박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블로그에 대한 고정적 생각으로 인해 자신이 만든 틀 안에 갇혀 있게 되는 현상 정도로 이해하면 되겠다. 필자의 경우에는 블로그를 여러 차례 운영하고, 새로 만드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이런 강박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되었다. 원래 네이버 블로그라는 편하고 안정감 있는 서비스에서 티스토리로 옮겨오다 보니 뭔가를 잃은 것 같고, 옛날같이 블로그 운영이 즐겁지 않다고 느낀 것이다. 이런 이유로 티스토리에 들어오게 되면서 블로그를 새롭게 생성했다가도 몇일 뒤면 흥미가 떨어져버리곤 했다. 그럼, 이런 '블로그 강박'은 어디서 생기는 것이고, 어떻게 대처해야 될까? 필자의 경험과 들.. 더보기 자바스크립트 강좌 # 자바스크립트란? 자바스크립트는 웹 개발에 있어 절대로 빠져서 안될 언어 중 하나다. HTML이 사이트의 기본 요소를 구축하고 CSS가 디자인을 해 준다면, JS는 실제 작동 내용을 이루어주는 가장 중요한 부분을 맡는다. 그럼, 이런 중요한 언어인 자바스크립트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 JS는 어떤 언어? 자바스크립트는 브라우저에서 작동하는 어느 운영체제에서나 작동할 수 있는 언어다. 입문하기 쉽고, 상당히 유용하지만, 지금처럼 JS의 규모가 크지 않을 때에는 무시도 받았다 한다. 또 참고로 말하자면, 자바스크립트와 자바는 전혀 다른 언어다. 자바스크립트는 '브랜든 아이크'가 만든 웹 언어인데 반해 자바는 '오라클'에서 만들었으며, 일반 프로그램이나 서버 구축을 위해 사용한다. 이 두개는 이름이 비슷하지만, 각각 하는 ..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